[대한여객]25.02.15 마산남부(남마산)→진주 시외일반 탑승기
한때 삼사차(부팸) 휴게소 도착방송으로 쓰던 음악이었죠
현철 선생님도 작년에 작고 하셨으니 뒤늦은 추모겸 배경음악으로 깔아봅니다
정말 오랜만에 오는 남마산터미널
탑승기 찾아보니 2011년 2월 23일이 마지막 방문이였네요
14년만에 왔습니다
거의 변화없는 내부
승차장
마산시외는 승차장 구조개선했는데
여기는 아직도 옛모습 그대로네요
경원여객 썬샤인 6110호
사고로 앞모습을 바꿔서 그런지 "경원고속"표기를 안했네요
그리고 운전석위해 차량면허 표기도 안했네요
이런애가 남마산-동래-노포동 뛰는거 보니
곧 갈때가 된듯합니다
유로6 초기형도 보낼시기가 오다니
저노선도 원래 경남버스(현 경남고속뉴부산)독점노선
동래-남마산-진동-배둔-고성-통영-(장승포)
이 계통이었다가 노포동으로 연장된거
남마산 생기기전에는 합성동경유 노선
동일익스프레스 차량들
원래 이 노선들은
과거 경남시외버스의 전설 우성여객이 운행했던 노선들이죠
AM928및AM928A(천일or경원여객 출신)과
재수없음 쇠창틀 BS105가 걸리던 레알 복불복노선
신흥여객도 공배하던노선
DA33 및 SB33A,SB33AT가 말년을 보내던 곳
당시 신흥에 몇없던 유선형 폴딩도어 LS가 고정으로 있었죠
승차장 전경
다른각도에서 찍은 실내
거제현대고속 그린필드
제가 탈 녀석입니다
5560호
원래 판때기차 굴러다니던 노선에 에어서스차를 굴리다니
군북까지가는 놈
얘는 칠원,칠서방면으로 빠지는 차 입니다
동일익스프레스
개선형과 미개선형 뉴슈퍼들
월급짜기로 뒤에서 1위,2위를 다루는
서부경남 업체들
경원,삼사(부산,대한,영화)
신흥여객 파크웨이
썬샤인과 파크웨이
사상발 남마산경유 고성통영행
슈프 그린필드
썰렁해진 승차장
5560호탑승
출발직전
남마산발차
터미널출구
월영광장
예전에는 여기에서 승객취급을 했었는데
2000년대초반까지 매표소가 따로 있었던걸로기억
밤밭고개 올라가는길
밤밭고개삼거리
현동교차로
여기서 우측으로가면 제가 살았던곳으로 갑니다
동전터널
옆차선은 원래 마산방면으로 쓰던 터널이었죠
여긴 오리지날 진동방향터널
태봉근처
동전도 무정차 태봉도 무정차
이차는 진동경유기때문에 구도로로 빠집니다
이구간 원래 사고다발구간이었죠
그리고 주말되면 주차장이라서 통과하기 힘들었던구간
이것도 다 옛추억
국도2호선에서 해제된뒤로는 손놓은듯
진동입구
진동정류소
타는사람 내리는사람X
진북면 구간
암아교차로
지산,진북 무정차
암아도 승객없어서 무정차
진목마을구간
임곡정류소
손님없어 통과
구 2번국도구간
진마대로 생기기전엔 여기 통행량 장난아니였죠
양촌
하차승객있어서 정차
도중에 곡안,동산 승객없어 통과함
대정근처
손님없어서 통과
진마대로진입
진마대로 진입직전 봉암도 승객없어서 통과
진마대로
진주진입
발산도 승객없어서 무정차
길성
이곳도 승객없어서 무정차
대천(한골)
손님없어서 통과
직전정류소인 가산도 통과
수목원교차로
여기서 다시 구 2번국도 구간으로 돌아갑니다
수목원
승객없어서 무정차
구 2번국도구간 진입
개암
승객없어서 통과
반성철도육교
구 경전선을 활용한 자전거도로
반성초등학교
여기도 앱에는 안나와있지만
남평정류장으로 손들거나 내려달라하면 내려주는곳이죠
구리 정류장근처
승객없어서 통과
건너편에는 부일교통 5565호
곧 중간지점인 반성터미널 근처
반성터미널
반성터미널 정차
반성발차
다시 진주로향해 출발
진주시민버스 일렉시티
5410호
무촌리구간
사봉삼거리
원래 여기도 정차하는데
손님없어서 사봉도 통과
지수,사봉고개쪽 방향
진성방향으로진입
여기도 확장했네요
대한여객 5558호
진주발 남마산행
인사하는 모습 잡힘
저 하동,진주 표지판은 제가 기억하는것만해도
근 30년 넘은겁니다
도중에 글씨체 바꾼거 빼고는
진성IC근처
진성
승객없어서 통과
진성교차로
원래 여기서 진마대로 안타고
구불텅한 고갯길로 갔는데
국제대,문산 무정차로 가실모양이신듯
진마대로 재진입
과거 남해선 확장전에는
여기서 개양까지 국도타거나
개양에서 여기까지 국도타고와서 진성IC올라가는게 국룰이었죠
심지어 평일에도 그렇게 갔었죠
진주↔마산,부산차 탔을때 그렇게 간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구 2번국도노반
여기에 속도카메라있었죠
경전선
진주역이 보이는거보니
개양 근처입니다
즉 문산,국제대 무정차
개양오거리
구.개양IC가 있던곳
개양하차승객있어서 정차
중앙고속,천일고속,중앙고속
석류공원 근처
남중정류장 가는길
남강
진주 주약동
구 진주역 근처
진주교
남중 하차승객있어서 정차했는데
초점나가서 사진 편집함
시외주차장 진입전
하차
1.2008년 4월 이후로 17년만에 탄 남마산-진주 완행노선
2.마산-진주 완행중 유일하게 남은 완행노선입니다 원래 이노선 계통이 두가지 였는데 하나는 마산(합성동)-함안-군북-원북-지수-사봉-진성-문산-진주 운행계통도 있었다가 대한여객이 철수하면서 신흥여객,우성여객만 남아서 군북으로 단축되었다라는 얘길 어르신께 들은적 있습니다 원래 이노선도 남마산 터미널 생기기전에는 합성동 출발차량이었죠
3.원래 이노선은 판때기만 굴러다니던 노선이었죠 에어로600→유선형LD(파워텍 이전모델)→07년식 파워텍LD 이렇게 판때기차만 굴렸던 노선입니다 어렸을때 에어로600과 유선형LD가 느릿느릿하게 다니면서 손님타고 내리는 모습을 수도없이 봤으니깐 그도그런게 90년대 후반만해도 동네 시내버스 마냥 20~40분 간격으로 수시로 다녔으니 가끔 운좋으면 전설의 하이데커나 혹은 지금은 없어진 전세부 하클익스가 땜빵투입되고 그랬죠 그리고 의외로 존재감 없는 삼사 에어로 로우데커가 말년엔 이노선에 자주 출몰했던걸로 기억합니다
4.이노선이 소위말하면 손들면 다세워주는 완행버스 입니다 앱에는 없지만 버스정류장 같이 생긴곳은 손들면 다 세워줬습니다 실제로 2008년 당시에는 그렇게 타고내리는 걸 본 기억이 남아있습니다.
5.제가 2008년에 탈때만해도 50분 간격이었는데 지금은 하루 6번으로 줄어든거 보면 세월이 흐른게 실감나네요 그대신 그때는 소요시간이 2시간넘게 걸렸습니다 그 덕분에 완주는 못하고 도중에 개양에 내려서 마산 직행타고 돌아갔죠
6.완승은 처음이네요 완승하기까지 17년이걸린노선 2008년에 탈 때는 무작정 탄거라 카메라없이 탄게 정말 아쉽네요
7.이노선도 앞날이 암울해 보입니다 그도그런게 남마산에서 7명 탑승하고 도중에 내리기만 내렸지 타는사람이 아예 없었습니다